top of page
률소장.jpg

대표 김성률

Kim, Seongyoul

現 대한민국 건축사 

現 부산국제건축제 전시위원장

現 부산 연제구 건축심의위원

現 새건축사협의회 부산지회 부회장

前 부산대학교 겸임교수

前 동의대학교 겸임교수

前 부산광역시 경관 심의위원

前 부산광역시 공공건축가

前 창원시 공공건축가

리을도랑은 기존의 개념을 넘어서는 새로운 관점에서 디자인을 시작합니다. 창의성은 익숙한 틀을 단순히 거부하는 것이 아니라, 그 틀을 바라보는 시선을 달리하는 데에서 비롯된다고 믿습니다. 건축의 본질을 다르게 보고, 새롭게 해석하는 것. 이러한 관점의 전환이 창의적인 사고의 출발점입니다.
우리는 건축이 사회와 소통할 수 있으려면 언어처럼 읽히고, 의미를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렇기에 복잡한 조형보다 간결한 형태와 명확한 언어를 통해 건축이 지닌 의도를 표현하고자 합니다.

건축이 시처럼 감성을 자극할 수 있다면 그 자체로 예술이 될 수 있다고 믿습니다. 일상의 공간이 사람의 마음에 울림을 줄 때, 건축은 기능을 넘어 예술로 승화됩니다.
우리가 추구하는 건축은 새로운 시선으로 읽고, 간결한 언어로 말하며, 시적인 감성으로 기억되는 공간입니다.

Rieuldorang approaches design from a perspective that extends beyond conventional notions. We believe that creativity does not arise from simply rejecting familiar frameworks, but from redefining the way we perceive them. Reexamining the essence of architecture and offering new interpretations — this shift in viewpoint is the foundation of creative thought.

We consider architecture to be a medium that must communicate with society. To do so, it should be legible, much like language, and capable of conveying clear meaning. Accordingly, rather than relying on complex forms, we aim to express architectural intention through simplicity, clarity, and a precise visual vocabulary.

We also believe that architecture attains the level of art when it can evoke emotions in the way poetry does. When everyday spaces resonate with people, architecture transcends mere function and becomes an artistic experience.

The architecture we seek to create is one that is interpreted through a renewed perspective, articulated through a refined and succinct language, and remembered for its poetic sensibility.

bottom of page